본문 바로가기
과학정보

고대 이집트의 여신 누트의 모습과 은하수, 현대 기술로 본 고대 이집트 문화

by 김개미87 2024. 4. 22.
반응형

포츠머스 대학교에서 우리 은하와 이집트의 하늘 여신 누트(Nut)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논문 "The Ancient Egyptian Personification of the Milky Way as the Sky-Goddess Nut: An Astronomical and Cross-Cultural Analysis"에서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은하수가 하늘의 여신 누트와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누트가 별들로 덮인 채 지구 신 게브 위로 아치를 그리고 있으며, 그녀의 아버지이자 대기를 상징하는 신 슈가 그녀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누트가 하늘을 인격화하고 그녀의 몸이 은하수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출처 - Graur, O. (2024). The ancient Egyptian personification of the Milky Way as the Sky Goddess Nut: an astronomical and cross-cultural analysis.  arXiv preprint arXiv:2404.01458)

 

누트는 하늘을 상징하며, 별이 박힌 여인의 형태로 묘사되고, 땅의 신 게브 위로 아치형을 이루는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이 모습은 누트가 지구를 보호하고, 일몰 때 태양을 삼키고 새벽에 다시 태양을 낳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세티 1세의 아비도스에 있는 무덤에서 발견된 'Fundamentals'의 재구성입니다. 이 그림은 은하수의 방향과 누트의 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천문학적 맥락을 제공합니다.( 누트가 별들로 덮인 채 지구 신 게브 위로 아치를 그리고 있으며, 그녀의 아버지이자 대기를 상징하는 신 슈가 그녀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누트가 하늘을 인격화하고 그녀의 몸이 은하수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출처 - Graur, O. (2024). The ancient Egyptian personification of the Milky Way as the Sky Goddess Nut: an astronomical and cross-cultural analysis.  arXiv preprint arXiv:2404.01458)

 

 

연구의 핵심은 우리 은하가 어떻게 누트의 신성한 역할을 보여주는지에 대한 해석입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계절에 따라 하늘이 변함을 관찰하고, 하늘의 상징인 누트의 변화라 생각했을 것입니다. 겨울에는 우리 은하가 누트의 팔을 따라 배열되어 그녀가 하늘을 아우르는 모습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고, 여름에는 그녀의 척추를 따라 배열되어 하늘을 가로지르는 모습을 표현했을 것입니다.

 

이집트 기자 지역에서 1880 BCE의 7월 1일과 1월 1일의 은하수의 모습을 나타내는 Stellarium 및 Cartes du Ciel 소프트웨어의 스크린샷. 이 그림들은 은하수가 하루 중 및 계절에 따라 어떻게 방향이 바뀌는지 보여줍니다.(출처 - Graur, O. (2024). The ancient Egyptian personification of the Milky Way as the Sky Goddess Nut: an astronomical and cross-cultural analysis.  arXiv preprint arXiv:2404.01458)

 

 

이 연구는 누트가 사후 세계로의 전환과 연례 조류 이동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다른 문화에서도 우리 은하를 사후 세계로 가는 길이나 영혼의 길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우리 은하가 지닌 신성한 의미와 연결됩니다.

 

연구자들은 고대 이집트의 여러 텍스트와 현대 천체물리학 시뮬레이션을 결합하여 이러한 해석을 도출했습니다. 이러한 다학제적 접근은 고대 문화의 천문학적 지식과 신화적 상징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단순히 고대 이집트의 신화를 해석하는 것을 넘어서, 천문학이 어떻게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아우르며 인류의 공통된 경험을 이어주는지를 탐구합니다. 이는 우리 은하의 다문화적 신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